티스토리 뷰
주휴수당 계산법 소개
이번 포스팅은 주휴수당 계산법 소개드리겠습니다. 시급으로 급여를 받는 다면 확인해야합니다. 본업이 있고 부업으로 알바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퇴근하고 하루에 주 3일 5시간씩 아르바이트를 했습니다. 집근처에 있는 스터디카페에서 매일 매일 출근을 하고 있어요. 분위기도 조용한 편이라 근무 피로도가 적은편에 할일이 간단한 청소뿐이라서 부업으로 최적이였어요.
그런데 처음으로 급여를 받게 되었는데 한달 근무한 급여보다 많이 들어와서 사장님에게 물어보았는데 금액에 맞게 입금이 된거라고 해서 주휴수당에 대해서 알게되어서 물어보았습니다.
급여가 더 많이 들어온 이유는 주휴수당이 붙어서 실제 일했던 시간보다 급여가 많이 들어온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래에서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지금부터 주휴수당 계산법과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영세한 사업장일수록 모르고 지나가거나
떼먹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런 부분들 일하는 사람이 알고 있어야 월급 손해를 안 봅니다.
1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하루치 임금을 지급하도록 노동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일주일동안 정해진 근무일수 전부 채운 근로자는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급근로자는 복리후생비, 시간외 근로수당, 연차수당 등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꼭 챙겨야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위의 조건이 충족된다면 하루 8시간 5일 근무 기준 확인해보았습니다.
기본 시급에 하루근무시간을 곱한 금액이 주휴수당이 됩니다.
네이버 시급계산기로 확인 할 수 있는데 선택 근무시간 체크하세요.